티스토리 뷰
예비군 연기 방법, 신청대상 및 신청시기 안내 클릭하여 자세히 알아보세요
@!#^^ 2024. 4. 8. 11:39
예비군 훈련은 국가 안보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그러나 때로는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훈련일과 다른 중요한 일정이 겹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런 경우를 위해 예비군 연기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예비군 연기 에 대한 방법과 절차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예비군 훈련 연기 방법 및 사유
연기 가능한 사유
- 질병 또는 심신장애: 진단서 또는 진료 확인서 또는 입원 확인서 제출
- 직계 존속, 비속 등의 위독 및 사망: 가족 상태를 증명하는 진단서와 가족관계증명서 등 제출
- 천재지변 등 재난: 행정관서의 사실확인서 제출
- 출국 또는 출국 예정: 출, 입국일 또는 국외 체류 기간이 소집 기간과 중복될 경우
- 각종 시험 응시: 시험 응시 증빙서류 제출
- 방송통신에 의한 출석수업: 출석 수업 증빙서류 제출
- 주요 운동경기, 기능경기 또는 콩쿠르 참가: 참가 확인서, 합숙훈련 계획서 등 제출
- 본인 결혼 및 부모 회갑: 결혼식 일자나 부모 회갑일이 소집일과 중복될 경우
- 주요 업무 수행: 증빙서류, 사유서 제출
- 농업, 어업 종사자: 농, 어민 후계자 증명서, 관련 서류 제출
연기 방법
- 동원훈련 연기신청 : 병무청 민원처리포털에서 신청 후 결과 문자 확인
- 일반 예비군 훈련 연기 신청: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
예비군 훈련 연기 후기
- 예비군 훈련 연기 를 통해 중요한 시험 등의 일정과 충돌을 피할 수 있었음
- 동원훈련 과 동미참훈련의 불참에 따른 법적 불이익과 2차 보충훈련부터는 고발당하는 점 인식
- 연기 사유에는 질병, 가족 사망, 천재지변 등 다양한 사유가 포함되며, 증빙 서류가 필요함
- 연기를 위한 절차와 예비군 훈련 연기 에 대한 국가적 의무 인식에 대한 중요성 강조
의무적인 군 복무 이후에도 예비군 훈련을 받아야 하는데, 이를 위해 연기 제도를 잘 활용하여 불이익을 피할 수 있도록 함을 강조합니다.
관련 법령 |
예비군법 제15조(벌칙) 제9항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1년 이하의 징역, 1천만원 이하의 벌금,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한다. |
1. 제6조제1항에 따른 훈련을 정당한 사유 없이 받지 아니한 사람이나 훈련받을 사람을 대신하여 훈련받은 사람 |
다운로드
댓글